최근 AI 소프트웨어 영역의 선두주자로 각광받고 있는 팔란티어의 성장성을 확신하여 팔란티어에 투자하고 싶지만 연금계좌나 ISA계좌가 해외직투가 불가능함으로 인해 투자에 아쉬움을 느끼는 투자자분들을 위해 국내에 상장된 ETF를 중심으로 팔란티어 비중이 높은 종목들을 정리해 봤습니다. 팔란티어 투자를 고려하시는 분들에게 투자에 있어 작은 도움이 될 수 있었으면 합니다.

*) 본 포스팅에 사용된 모든 정보와 이미지의 출처는 운용사 공식 홈페이지입니다.
*) 내용을 확인하고 문서로 작성하는 과정 중 일부 오류가 있을 수도 있습니다.
*) 해당 의견은 개인적인 관점이 반영되어 있습니다. 종목을 추천하는 것이 아니며 투자의 책임은 각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국내 상장 주요 팔란티어 비중 ETF
AI 혁명의 시대 흐름을 등에 업고 가파른 성장세를 보여주는 팔란티어는 결국 미국을 대표하는 500대 기업 S&P에 편입되었습니다. 국내 ETF 시장도 팔란티어의 성장을 눈여겨보고 팔란티어를 중심으로 종목을 구성한 ETF를 속속 출시하면서 국내 투자자들에게 관심을 끌고 있습니다. 팔란티어 비중을 높게 담은 주요 국내 상장 ETF는 아래와 같으며 모두 팔란티어가 유명해지며 최근에 출시된 ETF로써 성과 추적에는 한계가 있습니다.
| 구분 | KODEX 미국AI 소프트웨어TOP10 |
SOL 팔란티어 미국채커버드콜혼합 |
SOL 팔란티어 커버드콜OTM채권혼합 |
KIWOOM 팔란티어 미국30년국채혼합액티브(H) |
RISE팔란티어 고정테크100 |
| 종목코드 | 0041D0 | 0040X0 | 0040Y0 | 0015F0 | 0047R0 |
| 운용사 | 삼성자산운용 | 신한자산운용 | 신한자산운용 | 키움자산운용 | KB자산운용 |
| 상장일자 | 2025.0422 | 2025.04.22 | 2025.04.22 | 2025.02.11 | 2025.05.13 |
| 팔란티어 비중 | 22.47% | 30% | 30% (콜옵션매도포함) |
25% | 25% |
| 시가총액(AUM) | 318억 | 129억 | 84억 | 177억 | 108억 |
| 수수료 | 0.45% | 0.35% | 0.35% | 0.19% | 0.2% |
| 환율대응 | 환노출 | 환노출 | 환노출 | 환헷지 | 환노출 |
| IRP 투자한도 | 70% (안전자산불가) |
100% (안전자산가능) |
100% (안전자산가능) |
100% (안전자산가능) |
70% (안전자산불가) |
*) 수수료는 발표 상 수수료이며 일반적으로 금융투자협회 공시된 실제 발생 수수료는 이보다 높습니다.
KODEX 미국AI소프트웨어TOP10 - 0041D0
팔란티어를 비롯한 미국 AI 소스트웨어 주식 10개 종목을 담은 ETF입니다.
팔란티어의 비중을 약 22% 가져가고 있으며 그 밖에 마이크로소프트, 앱러빈, 스노플레이크, 몽고 DB, 세일스포스, 서비스나우, 팔토알토네트웍스등 AI 소프트웨어 대표 종목들을 고르게 담고 있습니다.
팔란티어의 성장을 확신하고 미국 AI 소프트웨어의 전망을 높게 보는 적극적인 투자자에게 적합하며 환노출 방식을 택하고 있어 환율 변동에 따른 변동성 발생을 고려하여야 합니다.
상품 소개 상 수수료는 0.4%이며 실제 수수료는 그보다 높을 수 있습니다. 일반적인 수준보다는 다소 높은 수수료율이라고 생각되며 현재 시총은 300억 원을 넘어 어느 정도 유동성을 확보하여 거래에는 크게 불편하지 않겠습니다.
SOL 팔란티어미국채커버드콜혼합 - 0040X0
팔란티어를 30% 담고 나머지를 미국 장기 국채를 담은 ETF입니다.
월 배당 분배금 지급을 통한 현금흐름을 만들기 위한 커버드콜 전략을 사용하는 ETF로 커버드콜 전략을 위한 콜옵션매도는 미 장기물 국채입니다. 따라서 팔란티어 30%는 그대로 팔란티어의 시세를 추종합니다.
미국 장기채는 미 장기채 금리변동에 따라 변동성이 큰 편입니다. 대신 금리가 낮아지면 채권이자 외에 시세차익도 노려볼 수 있습니다. 대신 금리가 높아지면 손실도 발생하게 됩니다. 또한 미국 장기채에 투자하면서 모든 자산이 달러자산에 투자하는 셈이 되므로 환율변동에 따른 변동성도 크다는 것을 인지하고 투자하여야 합니다.
커버드콜 전략으로 연 12%의 높은 분배금으로 현금흐름도 만들고 30% 비중의 팔란티어 시세 추종으로 기대 수익률을 더해 미국 금리가 점진 하향할 것이라는 전망에 동의한다면 추가적인 미 장기채 시세차익도 기대할 수 있습니다. 자산의 100% 모두 달러자산이며 환노출을 택하고 있어 환율 변동에 따른 변동성도 있습니다.
출시한 지 얼마 안 되어 아직 시총은 130억 수준으로 유동성이 부족하여 거래가 원활하지는 않습니다. 상품 소개 상 수수료는 0.35% 수준으로 다른 커버드콜 전략 ETF와 비슷한 수준입니다. 팔란티어의 성장성을 믿고 변동성을 감내하여 기대 수익률이 높은 적극적인 투자자에게 적합합니다.
SOL 팔란티어커버드콜OTM채권혼합 - 0040Y0
먼저 나온 SOL 팔란티어미국채커버드콜혼합 ETF와 동시에 출시된 ETF입니다. 미국채대신 국내 단기채권 70%로 구성되어 있으며 마찬가지로 월 배당 분배금 지급을 통한 현금흐름을 만들기 위한 커버드콜 전략을 사용하는 ETF입니다.
커버드콜 전략을 위한 옵션매도 대상을 팔란티어로 하여 팔란티어 시세를 완전히 추종하지 않습니다. 위클리 3% OTM 전략을 사용하여 주 단위로 상승분의 3%까지는 시세를 추종합니다. 대신 팔란티어의 높은 변동성을 이용한 콜옵션매도 전략으로 연 18% 이상의 높은 분배금을 창출합니다.
또한 미 장기국채가 아닌 국내단기국채로 구성되어 금리변동에 대한 민감도가 현저하게 낮아 변동성이 낮아 비교적 안정적인 움직임을 보여줍니다. 팔란티어만 달러자산이고 나머지는 국내 원화자산이기 때문에 환율변동에 의한 변동성도 비교적 낮은 편입니다.
마찬가지로 출시한 지 얼마 안 되어 시총은 90억 원이 채 안됩니다. 유동성이 부족하여 거래가 불편하다는 단점이 있으먀 수수료는 0.35%로 같은 수준입니다. 비교적 안정적이면서 높은 월 현금흐름을 만들고 싶은 투자자에 에 적합합니다.
KIWOOM 팔란티어미국30년국채혼합액티브(H) - 0015F0
앞서 설명드린 SOL 팔란티어미국채커버드콜혼합 ETF와 같이 팔란티어 25% 비중으로 나머지를 미국 30년 이상 장기국채로 채운 ETF입니다. 차이가 있다면 커버드콜 전략을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자산 25%는 팔란티어 시세를 온전히 추종하고 나머지 75%는 미국 장기 30년물 국채의 시세를 온전히 추종합니다. 팔란티어의 상승과 미국 30 장기국채의 상승 시 가장 혜택을 크게 받게 됩니다.
대신 월 배당이긴 하지만 미장기국채에서 나오는 이자만 배당함으로 연 3%~4% 수준의 이자배당률에 그칩니다. 높은 현금흐름대신 장기적인 시세차익을 원하는 투자자에게 적합합니다.
마찬가지로 출시한 지 얼마 안 된 ETF로 순자산 총액은 177억으로 그리 큰 편은 아니라서 유동성이 충분하지 않아 거래가 살짝 불편할 수도 있겠습니다. 상품 소개 상 수수료는 0.19%입니다. 유일하게 환헷지 전략을 사용하여 환율변동에 따른 변동성이 현저히 낮다는 장점이 있으나 매년 1% 이상의 환헷지 수수료가 발생하는 점은 단점입니다.
RISE 팔란티어고정테크100 - 0047R0
팔란티어 25% 비중에 나스닥 100에서 테슬라를 뺀 나머지 99 종목으로 75%를 채운 ETF입니다. RISE에서는 나스닥 100이란 이름대신 테크 100이란 이름을 쓰는데 아마도 라이선스 비용을 절감하고자 채택한 전략으로 보입니다. 나스닥 100과 구성은 거의 동일합니다. 대신 팔란티어 한 종목의 비중을 최대로 가져가 나스닥 100의 성과와 함께 팔란티어의 성장에 따른 성과를 최대로 가져가려고 설계되었습니다.
나스닥100 지수 추종 ETF 보다 좀 더 높은 성과를 기대하는 적극적 투자자에게 적합하다 하겠습니다. 이제 갓 출시되어 시총은 108억 수준으로 낮아 유동성 문제로 거래가 살짝 불편할 수 있습니다. 상품 소개 상 수수료는 0.2% 수준으로 평범한 수준입니다. 여 거래가 원활하지는 않습니다.
역시 환노출 ETF로 100% 달러자산이기 때문에 시세변동 외에 환율변동에 따른 변동성이 추가되겠습니다.
기타 ETF
이 외에도 아래와 같은 팔란티어 비중이 꽤 높은 ETF들이 다수 있습니다. 비중은 2025년 5월 15일 기준입니다.
| ACE 미국주식베스트셀러 | 473590 | 17.33% |
| KODEX 미국휴머노이드로봇 | 0038A0 | 10.17% |
| KoAct 글로벌AI&로봇 | 471040 | 7.6% |
| KoAct 나스닥성장기업액티브 | 0015B0 | 9.02% |
| KODEX 미국서학개미 | 473460 | 9.49% |
| RISE 미국AI테크액티브 | 495940 | 8.76% |
'재테크,주식 > 개별종목 주가,공시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최고의 월배당 커버드콜 ETF - RISE 데일리고정커버드콜 시리즈 (2) | 2025.05.19 |
|---|---|
| 신규 상장 ETF 리뷰 : TIGER 코리아배당다우존스 - 0052D0 (0) | 2025.05.19 |
| 코람코에너지리츠(357120) - 투자자산 임대차 합의 공시 (0) | 2022.03.04 |
| 코람코에너지리츠(357120) 유상증자 공시 (0) | 2022.02.28 |
| 코람코에너지리츠(357120) 공시- 물류센터 추가자산 편입 / 유상증자? (0) | 2022.02.2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