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재테크,주식/퇴직연금,IRP,연금,노후설계

퇴직연금 DC / IRP 안전자산 30% 채워넣기 - 종목 TOP 5

by only1see 2022. 1. 14.
반응형

퇴직연금/IRP에는 무조건 안전자산으로 전체 자산의 30%를 채워 넣어야 합니다. 안전자산으로 채워 넣을 수 있는 펀드, ETF 중에서 일반 예적금보다 더 좋은 수익률을 기대하는 종목들 중 TOP 5를 골라봤습니다.

 

전체 퇴직연금/IRP 가입자의 상당수가 일반 예적금으로 운용하여 연 2% 수익에도 못 미치는 현실이라고 하는데 좀 더 적극적으로 운용하여 은행금리 + @의 수익률을 꾸준이 이어가면 장기 연 복리 효과에 따른 노후 설계의 한 축으로 잘 자리매김이 가능하지 않을까 합니다.

 

https://www.inews24.com/view/1442775

 

무관심 속 방치된 퇴직연금, 수익률 높일 비책은?

[아이뉴스24 고정삼 기자] 퇴직연금이 평균 1%대의 저조한 수익률을 기록하는 원인으로 연금 자산운용의 낮은 수익률이 지목됐다. 투자자들이 무관심 속에 예·적금이나 보험상품 등 원

www.inews24.com

1. TIGER 미국달러단기채권액티브 ETF

미국 달러 표시 현물에 60% 이상 투자하고 1개월 초과 1년 미만의 잔존 만기인 단기 미국채로 나머지 비중을 가져가는 ETF입니다. 환헤징을 하지 않아 비용이 발생하지 않고 환율에 따라 가격이 변동하여 달러 투자의 목적으로 아주 적합
하며 채권으 보유하고 이자 수취로 인한 자산이 꾸준히 중가 하는 장점이 있습니다.

 

또한 미국의 우량주 채권과 통화안정증권과 같은 구성종목이 모두 만기가 짧은 채권을 보 유하하는데 원금상황이 0.4년마다 이뤄져 순환주기가 짧아 이론상 금리인상에 대한 리스크가 작은 점도 장점입니다.

2. 삼성 퇴직연금 인도중소형 FOUCS 채권혼합 펀드

이종목에 대한 설명은 아래 포스팅으로 대신하겠습니다. 향후 인도의 성장 가능성을 높게 보신다면 안전 자산으로 편입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https://only1see.tistory.com/16

 

퇴직연금(IRP) 안전자산 30% - 인도 채권 혼합형 펀드

퇴직연금(IRP) 안전자산 30% - 인도 채권 혼합형 펀드 퇴직연금계좌에서는 현금 혹은 예금이나 채권같은 안전자산으로 분류되는 상품을 무조건 전체 자산의 30% 이상을 유지해야 한다 요즈음과 같

only1see.tistory.com

3. KODEX TRF 3070 ETF

선진국 글로벌 MSCI 주식 30%와 국고 채권에 70%를 투자하는 ETF입니다. 주식시장이 상승일 때는 은행 예적금 금리의 3~4배 이상의 수익률을 보여줬으나 최근 색계 주식시장이 전체적으로 고점을 찍고 조정받는 상황이라 요즈음의 수익률은 부진한 편입니다. 어파치 퇴직연금은 장기로 가져가는 것이고 계속 적립식으로 불입되어 투자되는 것이므로 장기적으로 보면 예적금 수익률 이상의 수익률은 보일 것으로  예상되며 국고 채권 비중이 높기 때문에 주식 시장이 폭락하는 이벤트가 발생해도 하락폭이 크지 않습니다.

4. ARIRANG 미국장기우량회사채 ETF

만기 15년 이상의 미국 장이 우량 회사채에 100% 투자하는 ETF입니다. 총수익 지수를 추종하여 분배금은 바로 재투자하여 장기 투자 시 복리혜택을 누릴 수 있어 퇴직연금 운용상품으로 적합합니다. 주식과 음의 상관관계를 보여 안정적으로 포트폴리오를 운용할 수 있는 환노 출 안전 자산으로으로 좋습니다. 최근 국내 채권 ETF의 수익률은 마이너스일 정도로 국내 채권 ETF 보다는 미국채에 주로 투자하는 ETF를 선택하는 것이 좋습니다.  

5. 현금

공격적 성향의 투자자일 경우 전체 안전자산의  20%~30%는 현금으로 보유하고 있는 것이 좋습니다. 주식시장은 보통 1년에 한두차레 의 폭락이 오고 아주 가끔씩 코로나 사태와 같은 이슈로 인한 전 세계 폭락이 오는 이벤트가 발생합니다. 이때 퇴직연금 계좌의 안전자산은 소폭 하락하지만 일반 자산은 큰 폭으로 하락합니다. 그러면 전체  자산의 30% 안전 자산 비율이 높아지고 투자자산 비율이 낮아지게 됩니다.  이럴 때 안전자산으로 갖고 있던 현금으로 일반 자산에 투자하면 그동안 더 투자하고 싶어도 안전자산 30% 때문에 투자하지 못했던 종목에 추가 투자를 할 수 있습니다. 수익률의 극대화 측면에서 썩 괜찮은 방법입니다.

 

거래하는 은행,증권사에 따라 안전 자사로 거래가 불가능한 종목도 있을 수 있으니 투자에 앞서 먼저 거래 가능 여부를 확인하는 것도 필요하다고 말씀드리며 이상 포스팅을 마칩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