퇴직연금(IRP) 안전자산 30% - 인도 채권 혼합형 펀드
퇴직연금계좌에서는 현금 혹은 예금이나 채권같은 안전자산으로 분류되는 상품을 무조건 전체 자산의 30% 이상을 유지해야 한다 요즈음과 같은 저금리 시대에 전체 자산의 30%가 예금으로 연 1%~1.5% 수익률로 방치되는 것은 상당히 아까운 일이다. 그래서 안전자산으로 예금, 채권 투자에 대비하여 좀 더 Active 한 수익률을 얻고자 하는 사람들을 위해 전체 자산의 30% 이상을 성장 가능성인 높은 인도 주식에 투자하는 채권혼합형 상품을 소개한다. 최근 인도 증시가 최고점을 찍고 조정을 거치고 있는데 퇴직연금 직접 운용하시는 분들은 안전자산으로 적립식 분할 매수로 편입한다면 기존 안전자산 투자대비 좋은 수익률을 얻을 수 있지 않을까 싶다.
해당 상품은 삼성퇴직연금인도중소형FOUCS채권혼합 펀드로 최근 2년간 인도 주식의 급등으로 안전자산 투자상품으로는 이례적인 50%에 육박하는 수익률을 기록한 펀드이다.
1. 상품개요
운용사인 삼성자산운용의 홈페이지에 소개한 상품 특징과 투자전략은 아래와 같다.
이제, 세계의 공장은 인도!
- Make in India! 세계의 공장 인도를 만들기 위한 정책과 볍률 정비모디 총리 취임 후 강력하게 추진되는 모디노믹스제조업 육성, 인프라 투자 활성화 및 각종 규제완화
- 인도 유망 중소형주 발굴 역량인도 최대 운용사 릴라이언스 캐피탈 자산운용의 자문과 삼성자산운용 홍콩 현지법인 인도 출신 매니저의 전문적 투자
- 신탁재산의 50% 이상을 국내채권에 투자안정적이면서도 상대적으로 높은 성과를 유지하는 채권지수인 KOBI120 추종
2. 보수 및 수수료
삼성자산운용에서는 아래와 같은 보수 및 수수료를 안내하고 있는데 이는 오프라인 기준으로 내가 거래하는 한국투자증권을 통한 온라인 거래의 경우 0.85% 정도 수수료이다. 0.85% 수수료는 펀드 수수료 치고는 저렴한 것으로 판단된다.
3. 매입/환매 프로세스
해외펀드의 단점은 ETF나 주식거래와 같이 바로 매도하여 실시간으로 다른 상품으로 매수가 불가능(실시간 종목 변경 불가) 하다는 것이다. 매입/환매 프로세스는 아래와 같다.
4. 결론
안전자산 30% 투자 운용에 있어서 약간의 안정성 훼손을 감내하고 좀 더 Active 한 수익률을 만들고 싶은 분들에게 추천한다. 개인적으로 해당 펀드는 2년 동안 투자하여 우상향 했으며 코로나로 인한 전 세계적 급락상황에서도 -10% 정도의 하락을 보여주고 이후 반등하여 인도 증시의 급등을 통해 채권 혼합형임에도 불구하고 단기간에 30% 이상 수익률을 보고 매도한 이력이 있다. (이후로도 약 10% 이상 상승했다) 최근 인도증시가 최고점을 찍고 단기 10~15% 하락한 상태라 다시 현금으로 보유했던 안전자산을 다시 분할 재매수하는 중이다.
첨언하여 안전자산이 아닌 보다 적극적으로 퇴직연금에 인도증시에 투자하고 싶다면 같은 삼성자산운용에서 나온 비슷한 형태의 주식형 계열인 인도 중수형 FOCUS주식 펀드가 있다. 또 국내 상장된 KINDEX 인도 NIFTY50(합성) ETF 거래하는 방법도 있다. 인도 투자 ETF는 TIGER 인도 니프티 50 레버리지 도 있으나 레버리지 ETF라 퇴직연금 계좌에서는 거래가 불가능하다.
'재테크,주식 > 퇴직연금,IRP,연금,노후설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택연금 신규신청자 월 지급금 조정 (0) | 2022.01.17 |
---|---|
퇴직연금 DC / IRP 안전자산 30% 채워넣기 - 종목 TOP 5 (0) | 2022.01.14 |
보도자료 - 공모·상장 활성화를 위한 리츠제도 개선방안 (0) | 2022.01.12 |
국민연금 조기수령 과연 손해일까? (0) | 2022.01.10 |
2021 퇴직연금(IRP) 포트폴리오 종목 Review (0) | 2021.12.1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