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한자산운용에서 2025년 4월 22일 팔란티어를 대상으로 한 커버드콜 ETF 2 종을 상장하였습니다. 한 운용사에서 비슷한 성격의 ETF를 동시에 출시하는 것은 드문 일인데 어떤 특징이 있고 두 ETF 간의 차이점은 무엇이 있는지 비교 분석해 봤습니다.
*) 본 포스팅에 사용된 모든 정보와 이미지의 출처는 공식 홍보 홈페이지입니다.
*) 내용을 확인하고 문서로 작성하는 과정 중 일부 오류가 있을 수도 있습니다.
*) ETF 대한 의견은 개인적인 관점이 반영되어 있습니다.
왜 팔란티어인가?
AI 시대가 개화되면서 AI 패권이 이제 AI를 위한 반도체 산업으로 AI 소프트웨어산업으로 넘어가면서 AI 소프트웨어의 대표주자인 팔란티어가 주목받고 있습니다. 팔란티어는 성장하는 AI 소프트웨어 기업으로 데이터를 통해 세상을 예측하는 기술력을 보여주고 있으며 특히 보안과 국방분야에서 AI를 접목한 소프트웨어 역량이 돋보이며 기업 고객수와 신규계약 건수를 급격하게 증가시켜 데이터 기반 소프트웨어 시장의 입지를 더욱 강화하고 있는 추세입니다.
SOL 팔란티어 커버드콜 ETF 개요
신한자산운용에서 2025년 4월 22일 신규로 상장 출시하였으며 운용 수수료도 0.35%(실 수수료는 그 이상입니다.)로 같습니다. 두 ETF의 대략적인 특징은 아래와 같습니다.
구분 | SOL 팔란티어커버드콜OTM국채혼합 | SOL팔란티어미국채커버드콜혼합 |
종목코드 | 0040Y0 | 0040X0 |
종목 비중 | 팔란티어 : 25% 팔란티어 콜옵션 : 5% 3년이내 단기 국채 : 70% |
팔란티어 : 30% 20년 이상 장기국채 및 콜옵션 : 70% |
콜 옵션 전략 | 위클리 OTM +3% 추종 | 위클리 ATM |
특징 | 퇴직연금 안전자산 편입가능 | 퇴직연금 안전자산 편입가능 |
배당(분배금) 형식 | 월 배당 | 월 배당 |
월 예상분배금 | 주가의 1.5%(연 18%) | 주가의 1%(연 12%) |
주가 변동성 | 낮음 | 높음 |
팔란티어 시세추종 | 완만하게 추종(낮음) | 상대적으로 높음 |
시세 상승요인 | 팔란티어 상승 | 팔란티어 상승 < 미장기물 금리 하락 |
시세 하락요인 | 팔란티어 하락 | 팔란티어 하락 < 미장기물 금리 싱승 |
환율 영향 | 팔란티어 30%만 영향받음 | 100% 영향받음. |
수수료 | 0.35% | 0.35% |
SOL 팔란티어커버드콜OTM국채혼합
이 ETF는 우선 단기 국채 70% 비중을 담기 때문에 변동성이 현저하게 낮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변동성이 낮다는 이야기는 하락도 완만하게 하지만 상승도 완만하게 한다는 의미입니다. 더구나 팔란티어를 커버드콜 하는 옵션전략을 취하기 때문에 팔란티어의 급격한 상승 시에도 팔란티어 비중 30%가 이를 완전히 쫓아가지 못하는 단점이 있습니다.
극단적으로 예를 들면 위클리 +3% 콜옵션 전략으로 이론상 한주에 팔란티어가 10% 상승한다고 해도 이 ETF는 최대 3%만 상승하고 그것도 30% 비중의 3%만 상승하는 셈입니다.
즉 이 ETF 가격이 만원이라면 팔란티어가 한 주동안 10% 상승했을 경우 팔란티어 비중 30%의 3% 감안하면 90원 상승해서 10090원이 된다는 이야기가 됩니다. 전체 상승률을 보면 1% 상승에 그칩니다. 물론 한주에 10% 이상 상승하는 경우가 그리 흔하지 않기 때문에 확률적으로 어느 정도 상승을 쫓아갈 수 있습니다. 최근과 같은 급격한 변동장에서는 조금 불리할 수도 있습니다.
상승에 한계가 있어도 분배금 정책이 이를 상쇄합니다. 팔란티어의 높은 변동성을 이용한 커버드콜 전략으로 높은 옵션 프리미엄이 수취 가능하여 연 18% 분배를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퇴직연금 안전자산으로 넣는 예금이나 채권들의 이자율이 3%~4% 임을 감안할 때 상당히 기대할 만한 분배율입니다. 물론 예금이나 채권처럼 매우 안정적이진 않습니다. 팔란티어의 변동에 따라 흔들림이 커지는 경우가 많지만 그래도 채권 70% 이를 받쳐주고 있어 나름 안정적이긴 합니다.
SOL 팔란티어미국채커버드콜혼합
이 ETF는 우선 20년 이상 미장기물 국채 70% 비중을 담기 때문에 팔란티어의 변동성에 추가로 미국채금리의 변동성이 더해져 변동성이 높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즉 팔란티어 하락과 미 장기물국채금리 상승이 맞물리면 큰 하락이 나타나고 반대로 팔란티어 상승과 미장기물 금리가 낮아지면 큰 폭의 상승을 하는 특징이 있습니다. 사실 미 국채라는 이유만으로 퇴직연금 안전자산으로 편입이 가능한데 미 장기물국채의 변동성을 감안하면 안전자산으로 편입되어서는 안 된다고 생각합니다.
4월 22일 상장해서 일주일이 지났는데 그동안 미국채 금리가 떨어지고 팔란티어가 상승하였는데 SOL 팔란티어커버드콜OTM채권혼합이 1.9%(10190원) 상승하는 동한 이 ETF는 8.35%(10835원) 상승하였습니다. 처음 상장 시에는 팔란티어 하락과 미 장기물 금리 상승으로 이 ETF가 더 낮은 가격에서 시작하였습니다. 팔란티어 상승도 영향을 받지만 미 장기물 금리에 더 큰 영향을 받는 점이 명확합니다.
키움에서 출시한 KOWOOM 팔란티어미국채혼합(H) ETF와 구성이 비슷한데 이 ETF는 미국채에 대해서 커버드콜 전략을 펼쳐 월 분배금 분배율을 대폭 높였으며 환노출로 설계되었다는 점입니다. 키움 ETF는 미국채에서 나오는 이자로 월 25원 정도의 배당(연 3%)을 하는데 이 ETF는 월 100원(연 12%) 수준의 분배금이 예정되어 있습니다. 퇴직연금 안전자산으로 투자할 수 있는 것을 감안하면 마찬가지로 예금/채권보다는 훨씬 높은 분배금을 기대할 수 있겠습니다.
SOL 팔란티어커버드콜OTM채권혼합과 달리 이 ETF는 커버드콜 전략을 미 장기물 국채로 취하면서 팔란티어 시세추종을 그대로 합니다. 일주일간 미 국채금리는 그대로인데 팔란티어가 10% 오르면 비중 30%가 10% 오르게 됩니다. 즉 10000원이라고 하면 30%인 3000원의 10%가 올라 10300원이 됩니다. 여기에 미 국채금리까지 내리면 더 많은 상승을 기대할 수 있게 됩니다. 반대의 경우 더 많은 하락도 발생합니다.
또한 SOL 팔란티어커버드콜OTM채권혼합 ETF가 팔란티어 비중 30%는 환율의 영향을 받는데 비해 이 ETF는 100% 환율 영향을 받습니다. 환율이 지금 1400원 기준 14원 정도가 내리면 1%의 하락 요인이 발생합니다. 반대로 상승하면 1%의 추가 상승도 기대해 볼 수 있습니다.
과거 데이타 기반 수익률 비교분석
신한자산운용 홍보블로그의 자료를 보면 아래와 같이 과거 데이터를 지수 추종하여 수익률을 비교한 결과 설명과 달리 팔란티어커버드콜 OTM채권혼합 ETF가 더 좋은 수익률을 보이고 있습니다. 아마도 코로나 시기를 지나오면서 미 장기물 금리가 상승하면서 나온 결과가 반영된 것아 아닐까 추정을 해보고 점진적인 금리인하로 간다면 역전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이 그래프로 확인할 수 있는 사항은 OTM +3% 커버드콜이라 상승의 한계가 있다지만 실제로는 큰 급등이 자주 일어나지만 않으면 시세는 못지않게 쫓아간다는 점입니다.
정리
퇴직연금 안전자산으로 투자할 수 있는 좋은 ETF가 나왔습니다. 예금과 채권 수익률에는 만족할 수 없었던 투자자들의 갈증을 일부 해소해 줄 것으로 기대합니다. 팔란티어라는 회사의 장래 성장성을 믿는다면 상대적으로 낮은 변동성과 높은 월 현금흐름을 만들고 싶다면 SOL 팔란티어커버드콜 OTM국채혼합 ETF 투자를 검토해 볼만하고 변동성은 크지만 팔란티어의 성장과 함께 앞으로 예상되는 미국 금리 인하를 기대하면서 높은 수준의 월 현금흐름도 만들고 싶다면 SOL 팔란티어미국채커버드콜혼합 ETF 투자를 검토해 볼만합니다.
'재테크,주식 > 퇴직연금,IRP,연금,노후설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배당 해외 ETF - TSW / PLTW / NVW / AAPW / COIW (1) | 2025.04.29 |
---|---|
테슬라에 투자하면서 연 15% 분배금 받기 KODEX vs RISE (0) | 2025.04.20 |
ETF 비교 - 퇴직연금 안전자산 / 테슬라 투자 TIGER 테슬라채권혼합Fn vs KODEX 테슬라인컴프리미엄채권혼합액티브 (0) | 2024.05.08 |
테슬라로 높은 월배당을 받아보자! - KODEX 테슬라인컴프리미엄채권혼합액티브(475080) (0) | 2024.05.07 |
월배당 ETF를 10년,20년,30년 동안 분배금 재투자를 하면 얼마나 될까? (1) | 2024.05.06 |
댓글